2012년 하계 올림픽 멕시코 선수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2년 하계 올림픽 멕시코 선수단은 금메달 1개, 은메달 3개, 동메달 4개를 획득하여 총 8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축구 종목에서 금메달 1개를, 다이빙에서 은메달 2개와 동메달 1개, 양궁에서 은메달 1개와 동메달 1개를 획득했다. 태권도와 역도에서도 각각 동메달 1개를 추가했다. 멕시코는 총 102명의 선수를 파견했으며, 축구, 육상, 양궁, 다이빙, 승마, 펜싱, 체조, 유도, 근대5종, 조정, 요트, 사격, 수영, 싱크로나이즈드 스위밍, 탁구, 태권도, 트라이애슬론, 역도, 레슬링 등 다양한 종목에 참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2년 멕시코 - 2012년 멕시코 대통령 선거
2012년 멕시코 대통령 선거는 제도혁명당 엔리케 페냐 니에토 후보의 당선으로 국민행동당의 12년 집권이 종식되었으나, 언론 보도 편향 및 부정 선거 의혹 등 논란이 불거지며 멕시코 민주주의의 취약성을 드러내고 정치 개혁 필요성을 야기했다. - 2012년 멕시코 - 멕시코 마약 전쟁
멕시코 마약 전쟁은 마약 카르텔과 정부 간의 무력 충돌로, 지리적 이점과 콜롬비아 카르텔과의 협력으로 성장한 멕시코 카르텔 간의 세력 다툼, 정부 부패, 강경 진압 정책, 미국산 무기 밀반입, 사회경제적 불평등 등의 문제가 얽혀 폭력이 심화되고 있으며 할리스코 신세대 카르텔과 시날로아 카르텔이 주요 세력으로 활동하며 사회에 심각한 문제를 야기한다. - 하계 올림픽 멕시코 선수단 - 1900년 하계 올림픽 멕시코 선수단
1900년 하계 올림픽에 멕시코는 폴로 선수 4명을 파견하여 동메달 1개를 획득했으며, 멕시코 선수단은 기예르모 아이덴 리그트, 마누엘 데 비야비에하 에스칸돈 이 바론, 에우스타키오 데 에스칸돈 이 바론, 파블로 데 에스칸돈 이 바론으로 구성되어 최초의 올림픽 폴로 경기에 참가한 4개 국가 중 하나였다. - 하계 올림픽 멕시코 선수단 - 2008년 하계 올림픽 멕시코 선수단
2008년 하계 올림픽 멕시코 선수단은 태권도에서 금메달 2개, 다이빙과 역도에서 각각 동메달 1개를 획득하여 총 4개의 메달을 획득했으며, 다양한 종목에 선수단을 파견했다. - 2012년 하계 올림픽 선수단 - 2012년 하계 올림픽 중화인민공화국 선수단
2012년 런던 올림픽에 참가한 중국 선수단은 396명의 선수들이 출전하여 금메달 38개, 은메달 31개, 동메달 22개로 종합 2위를 기록했으며, 다이빙, 체조, 수영, 배드민턴, 역도, 탁구 등에서 강세를 보였다. - 2012년 하계 올림픽 선수단 - 2012년 하계 올림픽 카자흐스탄 선수단
2012년 하계 올림픽 카자흐스탄 선수단은 총 11개의 메달을 획득했지만, 역도에서 획득한 금메달이 도핑으로 박탈되었다.
2012년 하계 올림픽 멕시코 선수단 | |
---|---|
2012년 런던 하계 올림픽 멕시코 선수단 | |
NOC | 멕시코 올림픽 위원회 (MEX) |
NOC 영문명 | Mexican Olympic Committee |
웹사이트 | 멕시코 올림픽 위원회 웹사이트 |
대회 정보 | |
개최 도시 | 런던 |
참가 선수 | 102명 |
참가 종목 | 23개 종목 |
기수 | 마리아 에스피노사 (개막식 및 폐막식) |
메달 정보 | |
순위 | 39위 |
금메달 | 1개 |
은메달 | 3개 |
동메달 | 4개 |
올림픽 참가 역사 | |
첫 참가 연도 | 1900년 |
하계 올림픽 참가 횟수 | 자동 계산 |
동계 올림픽 참가 횟수 | 자동 계산 |
관련 정보 | 하계 올림픽 멕시코 선수단 동계 올림픽 멕시코 선수단 |
2. 메달 집계
멕시코는 2012년 하계 올림픽에서 금메달 1개, 은메달 3개, 동메달 4개로 총 8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금메달은 축구 남자 종목에서 획득했으며, 은메달은 다이빙에서 2개, 양궁에서 1개를 획득했다. 동메달은 양궁, 다이빙, 태권도, 역도에서 각각 1개씩 획득하였다.
2. 1. 종목별 메달 집계
2. 2. 메달리스트
메달 | 이름 | 종목 | 세부 종목 | 날짜 |
---|---|---|---|---|
-- | 멕시코 축구 국가대표팀 | 축구 | 남자 | 8월 11일 |
-- | 아이다 로만 | 양궁 | 여자 개인 | 8월 2일 |
-- | 마리아나 아비티아 | 양궁 | 여자 개인 | 8월 2일 |
-- | 마리아 에스피노사 | 태권도 | 여자 +67 kg | 8월 10일 |
'''남자'''
3. 종목별 경기 결과
'''여자'''선수 종목 16강 8강 준결승 패자부활전 결승/동메달 결정전 순위 자넷 알레그리아 -49 kg 라야 하타헤트
승 12 – 1브리히테 야궤
패 0 – 8진출 실패 카롤리나 카르스텐스
승 7 – 2루치야 자니노비치
패 5 – 65 마리아 에스피노사 +67 kg 다빈 손
승 3 – 2밀리차 만디치
패 4 – 6진출 실패 탈리티가 크롤리
승 13 – 0글레니스 에르란데스
승 4 – 2메달 선수 이름 경기 종목 호세 코로나, 이스라엘 히메네스, 카를로스 살시도, 이람 미엘, 다르빈 차베스, 엑토르 에레라, 하비에르 코르테스, 마르코 파비안, 오리베 페랄타, 조바니 도스 산토스, 하비에르 아키노, 라울 히메네스, 디에고 레예스, 호르헤 엔리케스, 네스토르 비드리오, 미겔 앙헬 폰세, 네스토르 아라우호, 호세 안토니오 로드리게스 축구 남자 이반 가르시아, 헤르만 산체스 다이빙 남자 10m 싱크로나이즈드 플랫폼 파올라 에스피노사, 알레한드라 오로스코 다이빙 여자 10m 싱크로나이즈드 플랫폼 아이다 로만 양궁 여자 개인전 라우라 산체스 소토 다이빙 여자 3m 스프링보드 루스 아코스타 역도 여자 63kg급 마리아나 아비티아 양궁 여자 개인전 마리아 에스피노사 태권도 여자 67kg 초과급
3. 1. 양궁
선수 | 종목 | 랭킹 라운드 | 64강 | 32강 | 16강 | 8강 | 준결승 | 결승/ | ||
---|---|---|---|---|---|---|---|---|---|---|
점수 | 시드 | 상대 | 상대 | 상대 | 상대 | 상대 | 상대 | 순위 | ||
루이스 알바레스 | 개인전 | 665 | 30 | 흐리스토프 (35) | 오진혁 (3) | 진출 실패 | ||||
후안 레네 세라노 | 665 | 29 | 갈리아초 (36) | 고드프리 (4) | 진출 실패 | |||||
에두아르도 벨레즈 | 666 | 26 | 바지리 (39) | 다이 샤오샹 (7) | 진출 실패 | |||||
루이스 알바레스, 후안 레네 세라노, 에두아르도 벨레즈 | 단체전 | 1996 | 7 | colspan=2| | 말레이시아 (10) | 프랑스 (2) | 이탈리아 (6) | 대한민국 (1) | 4 |
선수 | 종목 | 랭킹 라운드 | 64강 | 32강 | 16강 | 8강 | 준결승 | 결승/ | ||
---|---|---|---|---|---|---|---|---|---|---|
점수 | 시드 | 상대 | 상대 | 상대 | 상대 | 상대 | 상대 | 순위 | ||
마리아나 아비티아 | 개인전 | 659 | 10 | 데흐간 (55) | 폴카드 (42) | 크리스티안센 (7) | 이성진 (2) | 로만 (11) | 로리크 (4) | |
아이다 로만 | 658 | 11 | 반노바 (54) | 데비 (22) | 카니에 (6) | 리오네티 (19) | 아비티아 (10) | 기보배 (1) | ||
알레한드라 발렌시아 | 657 | 13 | 파르나트 (52) | 청밍 (20) | 진출 실패 | |||||
마리아나 아비티아, 아이다 로만, 알레한드라 발렌시아 | 단체전 | 1974 | 4 | colspan=2| | 일본 (5) | 진출 실패 |
아이다 로만과 마리아나 아비티아는 여자 개인전에서 각각 은메달과 동메달을 획득하였다.[3]
3. 2. 육상


; 남자[2][3][4]
; 트랙 및 로드 종목
선수 | 종목 | 예선 | 준결선 | 결선 | |||
---|---|---|---|---|---|---|---|
기록 | 순위 | 기록 | 순위 | 기록 | 순위 | ||
호세 카를로스 에레라 | 200m | 21.17 | 7 | 진출 실패 | |||
후안 루이스 바리오스 | 5000m | 13:21.01 | 9 q | colspan=2 | | 13:45.30 | 8 | |
디에고 에스트라다 | 10000m | colspan=4 | | 28:36.19 | 21 | |||
카를로스 코르데로 | 마라톤 | colspan=4 | | 2:22:08 | 60 | |||
아르투로 말라키아스 | colspan=4 | | 2:26:37 | 70 | ||||
다니엘 바르가스 | colspan=4 | | 2:18:26 | 39 | ||||
에베르 팔마 | 20km 경보 | colspan=4 | | 1:26:30 | 46 | |||
아이작 팔마 | colspan=4 | | 1:23:35 | 34 | ||||
에데르 산체스 | colspan=4 | | 1:19:52 | 6 | ||||
호세 레이베르 오헤다 | 50km 경보 | colspan=4 | | 3:55:00 | 28 | |||
오라시오 나바 | colspan=4 | | 3:46:59 | 16 | ||||
오마르 세페다 | colspan=4 | | 3:49:14 | 23 |
; 필드 종목
선수 | 종목 | 예선 | 결선 | ||
---|---|---|---|---|---|
기록 | 순위 | 기록 | 순위 | ||
루이스 리베라 | 멀리뛰기 | 7.42 | 32 | 진출 실패 | |
스테판 사엔스 | 포환던지기 | 18.65 | 32 | 진출 실패 |
; 여자
; 트랙 및 로드 종목
선수 | 종목 | 예선 | 결선 | ||
---|---|---|---|---|---|
기록 | 순위 | 기록 | 순위 | ||
산드라 로페스 | 5000m | 15:55.16 | 16 | 진출 실패 | |
카리나 페레스 | 마라톤 | colspan=2 | | 2:33:30 | 50 | |
마리솔 로메로 | colspan=2 | | 2:33:08 | 46 | ||
모니카 에퀴후아 | 20km 경보 | colspan=2 | | 1:32:28 | 30 |
3. 3. 배드민턴
패 12–21, 18–21패 6–21, 10–21